반응형

Programing 94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http.converter.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n: JSON parse error: Cannot deserialize value of type 오류 해결하기.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실무에서 역직렬화 관련하여 발생한 오류 해결과 관련하여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실제 현업에서 사용하는 코드는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시 코드와 예시 내용으로 작성되는 포스팅입니다. 1. 문제 상황 설명 및 원인 파악 현재 제가 개발하고 있는 A라는 서비스에서 B라는 서비스를 호출하여 특정 맴버 값을 받아와야 하는 API라고 가정합시다. // A가 B에게 전달하려는 API Reqeust { memberSeq : Int, memberName : String, memberType : String } // A가 B에게 전달받은 API Response 값 { // Int memberSeq : 100112, // String memberName : "sg-moomin" ..

Spring + GraphQL Type/Input Type 활용 및 정리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nput Type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실제 업무 중 사용한 내용을 기반하여 소스 코드는 예시, 실행 결과는 텍스트로 대체하겠습니다. GraphQL Type Type은 필드로 구성되며 각각의 필드는 특정 종류의 데이터를 반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문자열, 커스텀 객체, 리스트 형태의 값을 반환 가능 GraphQL Input Type GraphQl의 Input Type은 말 그대로 입력 값을 의미한다. RestFul API로 비유하자면 파라미터 값 혹은 Body에 들어가는 값에 대해 미리 정의하는 것 Input Type은 단일, 객체 형태로 입력 가능하다. Input Type은 인자 관리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관리 가능하다. Inpyt Typ..

Programing/GraphQL 2023.04.10

Excepted a 'String' or 'java.time.temporal.TemporalAccessor' but was 'Date' 오류 해결 (spring-graphql)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에서 발생 되었던 오류를 해결한 내용을 정리 차원에서 하는 포스팅입니다. 세무민의 코딩일기 : Spring Boot + GraphQL ScalarType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프로젝트 기반은 아래의 포스팅의 연장선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세무민의 코딩일기 : Spring Boot + GraphQL 연결하기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 sg-moomin.tistory.com 아래의 내용과 같이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오류 내용 오류 내용은 보이시는 것과 같습니다. 영어를 해석해보자면 String 형과 TimePoral을 제외하였으나 Date 형식이 다르다는 의미입니다. 즉 GraphQL에서 Scalar Type을 인식할 ..

세무민의 코딩일기 : Spring Boot + GraphQL ScalarType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프로젝트 기반은 아래의 포스팅의 연장선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세무민의 코딩일기 : Spring Boot + GraphQL 연결하기 안녕하세요 세기무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와 GraphQL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raphQL? GraphQL은 페이스북에서 만든 쿼리 언어입니다. GrahpQl은 웹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서버로부 sg-moomin.tistory.com 포스팅의 주제는 ScalarType과 graphql-scalar를 spring boot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잘 안풀려서 나름 삽질 엄청했네요...ㅠㅠ) 1. Scalar Type? GraphQL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자료형은..

Programing/GraphQL 2023.03.28

[Spring] Scheduling LockProvider 사용 목적과 사용 시 고려할 사항 정리

최근에 업무를 하다가 Scheduling 변경 사항이 존재하여 LockProivder에 대해 알아봤는데 내가 알아본 내용과 업무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1. LockProvider 사용 목적 및 의미 LockProvider를 사용하는 목적은 아래와 같다. - 스케줄러의 중복 실행 방지 - 실무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중화 및 N중화를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버가 많으면 많을 수록 스케줄러의 Lock은 중요한 사항이 되며 이를 하지 않는 경우 어떤 서버가 배치를 처리해야 할 지 모르기 때문에 중복 실행이 될 수 있고 이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예를 들어 결제 시스템 새벽 배치인 경우 결제가 여러번 될 수 있다는 의미) - 따라서 순서와 관계 없이 1개의 서버가..

반응형